총 200건 중 200건 출력
, 4/20 페이지
-
31
-
孔子의 正名思想과 學校長의 리더십,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
-
김순이;
;
(한국교육논단,
v.4,
2005,
pp.51-72)
-
32
-
정명(正名)과 공자 인학(孔子 仁學)
-
이경무;
서원대학교;
(범한철학,
v.32,
2004,
pp.59-82)
-
33
-
5월의 기억과 부끄러움 - 공선옥의「씨앗불」을 중심으로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0,
pp.319-342)
-
34
-
인식되지 못한 자들, 혹은 유령들 - 5월소설 속의 ‘룸펜’ -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15,
2015,
pp.5-38)
-
35
-
괴물의 탄생 - 신자유주의, 유연성 그리고 ‘지존파(至尊派)’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17,
2016,
pp.117-148)
-
36
-
디오니소스-마르크스적 상상력 그리고 ‘얼굴’ ― 최인석론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9,
pp.241-261)
-
37
-
‘5월 문학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4,
pp.233-257)
-
38
-
『전선문학』에 나타난 슬픔의 배제와 증폭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12,
pp.393-423)
-
39
-
김남천 소설 속의 '누이' 표상―‘소년 주인공 계열’ 소설을 중심으로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0,
pp.163-189)
-
40
-
反정치의 이념과 ‘즉물주의’―1930년대 백철의 비평
-
정명중;
전남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5,
pp.337-36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