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부산로케 영화에서 도시경관과 상실의 지리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아시아영화연구,
v.12,
2019,
pp.203-227)
-
32
-
토니 쿠쉬너의 '미국의 천사들', 공동체로의 ‘발견의 여행’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현대영미어문학,
v.30,
2012,
pp.241-258)
-
33
-
줄리아 조의 '듀랑고', 장소 상실자들의 여행과 꿈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현대영미어문학,
v.33,
2015,
pp.223-242)
-
34
-
자넷 시어즈의 『할렘 듀엣』에서 인종과 해방의 공간화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현대영미어문학,
v.33,
2015,
pp.179-196)
-
35
-
공간화된 폭력의 회화성: 마리아 아이린 포니스의 ‘진흙’극들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현대영미어문학,
v.29,
2011,
pp.265-283)
-
36
-
수전 글래스펠의 『가장자리』에서 은유로서의 공간과 다름의 정치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63,
2021,
pp.99-116)
-
37
-
루이스 발데스의 『주트 수트』에 나타난 경계선 권력과 메스티사헤 의식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새한영어영문학,
v.64,
2022,
pp.85-104)
-
38
-
벨리나 하수 휴스턴의 극에서 혼종적 여성공간의 저항성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현대영미드라마,
v.30,
2017,
pp.212-231)
-
39
-
체리 모라가의 극에서 경계지대와 해방의 지리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영어영문학21,
v.33,
2020,
pp.77-95)
-
40
-
문화적 역공간성과 불안: 브라이언 프리엘의 극
-
정병언;
부산대학교;
(영미문화,
v.12,
2012,
pp.225-2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