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 4/12 페이지
-
31
-
허균‧박태원‧정비석 ⟨홍길동전⟩의 비교 연구
-
이문규;
서울시립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09,
pp.631-660)
-
32
-
정비석의 『금단의 유역』 연구 - ‘혼부라’ 문화와 등장인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
-
박수빈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비평문학,
v.0,
2023,
pp.243-266)
-
33
-
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과 남성 지식인의 불안
-
최창근;
전남대학교;
(호남학,
v.0,
2014,
pp.117-140)
-
34
-
1950년대 정비석 소설에 나타난 소비주체의 향방 - 『자유부인』과 『민주어족』을 중심으로 -
-
류경동;
고려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31,
2015,
pp.131-149)
-
35.
- 1950년대 신문소설의 서사방식 연구 : 정비석의 <自由夫人>을 중심으로
- 정은영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56 p., 2006
-
36
-
⟨홍길동전⟩의 현재적 계승과 개작 양상 ― 정비석 『소설 홍길동』을 대상으로 ―
-
유광수;
연세대학교;
(어문론집,
v.93,
2023,
pp.219-249)
-
37
-
A Study on the Jeong Biseok’s novel, 『The Forbidden Basin』 -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‘Honbura’ culture and characters
-
Su-bin, Park;
;
(비평문학 = Literary criticism,
v.89,
2023,
pp.243-266)
-
38
-
일제말기 ‘동양론’의 수용과 소설적 형상화 -정비석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-
-
이원경;
국민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9,
pp.307-337)
-
39
-
전후 국가근대화와 위험한 미망인의 문화정치학 - 정비석의 『유혹의 강』(1958)을 대상으로
-
김은하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49,
2010,
pp.211-229)
-
40
-
1950년대 정비석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‘연애’ 연구
-
류경동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6,
pp.95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