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박순호 소장본 ⟨장한가⟩에 나타난 恨의 표현과 의미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20,
pp.35-57)
-
32
-
사행록에 나타난 조선지식인의 바다체험과 인식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9,
pp.207-234)
-
33
-
⟨항장무⟩의 변이양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12,
pp.383-404)
-
34
-
오윤겸의 사행일기 연구: ⟨동사일록⟩과 ⟨조천일록⟩을 중심으로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16,
pp.39-67)
-
35
-
宋希璟의 [日本行錄] 硏究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온지논총,
v.0,
2006,
pp.131-157)
-
36
-
⟨한양가⟩에 나타난 사회생태학적 의미연구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7,
pp.69-91)
-
37
-
17세기 사행록의 연구현황과 나아갈 방향 - 명·청 교체기의 사행을 중심으로 -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5,
pp.35-65)
-
38
-
최현의 『조천일록』에 나타난 현실인식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18,
pp.75-113)
-
39
-
조선시대 대일사행록에 기록된 바다체험과 일본 -『해행총재』를 중심으로-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9,
pp.227-255)
-
40
-
⟨한양가⟩에 나타난 한양의 놀이문화 고찰
-
정영문;
숭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0,
pp.315-3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