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균형과 조화의 소설미학-이범선의 단편소설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99,
pp.39-57)
-
32
-
윤흥길론-문학 교육과 관련하여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국제한인문학연구,
v.1,
2011,
pp.335-364)
-
33
-
박경리 소설의 인물 성격과 ‘초인론’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국제한인문학연구,
v.1,
2012,
pp.229-256)
-
34
-
한국 역사소설과 성장의 행로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18,
2003,
pp.317-338)
-
35
-
한국 현대소설과 불교 설화 - 주제별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-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우리말글,
v.45,
2009,
pp.267-288)
-
36
-
최인훈 문학과 한국현대문학의 타자들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우리말글,
v.68,
2016,
pp.439-463)
-
37
-
해방 전후 지식인의 행로와 그 의미 ―이병주의 「관부연락선」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4,
pp.73-92)
-
38
-
문학교실에서의 「광장」 읽기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0,
pp.39-61)
-
39
-
한국 현대소설과 상해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한국언어문화,
v.0,
2008,
pp.275-298)
-
40
-
김동리 소설과 화개 -「역마(驛馬)」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-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9,
pp.267-2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