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
-
제종길;
이재학;
임현식;
최진우;
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;
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;
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;
한국해양연구소 장목분소;
(바다 : 한국해양학회지 = The sea :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,
v.5,
2000,
pp.346-356)
-
32
-
진해만 양식장 밀집해역의 저서동물 분포
-
임현식;
최진우;
제종길;
이재학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생물연구실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25,
1992,
pp.115-132)
-
33
-
강화도 남단 갯벌에서의 세균수 및 활성의 분포
-
권개경;
이홍금;
제종길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부설 한국극지연구소 극지생물응용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원;
(한국습지학회지 = Journal of wetlands research,
v.7,
2005,
pp.37-52)
-
34
-
한국 해산 물레고둥상과 , 홍줄고둥상과 및 감생이고둥상과 ( 연체동물문 : 복족강 ) 의 분류
-
최병래;
제종길;
정혜승;
;
(한국패류학회지,
v.11,
1995,
pp.93-122)
-
35
-
서해안 갯벌 현황과 철새에 대한 보전 방안
-
이시완;
제종길;
이한수;
에코텍 환경생태연구소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;
에코텍 환경생태연구소;
(한국환경생태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,
v.17,
2003,
pp.295-303)
-
36
-
진해만에서 아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 ( Mollusca : Bivalvia ) 의 분포
-
임현식;
홍재상;
제종길;
목포대학교 해양자원학과;
인하대학교 해양학과;
한국해양연구소;
(한국패류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,
v.11,
1995,
pp.21-34)
-
37
-
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(단각류)의 생물교란이 시화호 퇴적물 내 황화합물과 산소 농도의 수직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
-
구본주;
권개경;
신상호;
제종길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태.환경연구사업단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바이오신소재연구사업단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태.환경연구사업단;
열린우리당;
(한국습지학회지 = Journal of wetlands research,
v.8,
2006,
pp.79-89)
-
38
-
한국산 비늘갯지렁이류의 분류 I. 참비늘갯지렁이 아과
-
제종길;
이재학;
노용태;
한국과학기술원 해양연구소 생물실;
한국과학기술원 해양연구소 생물실;
건국대학교 생물학과;
(한국동물분류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,
v.1,
1985,
pp.61-78)
-
39
-
한국 서해 강화 갯벌의 퇴적물 특성
-
우한준;
박장준;
이연규;
제종길;
최재웅;
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;
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;
(한국습지학회지 = Journal of wetlands research,
v.6,
2004,
pp.167-178)
-
40
-
가막만의 중형저서생물을 활용한 오염모니터링
-
김동성;
제종길;
신상호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;
한국해양연구소 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33,
2000,
pp.307-3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