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대학과목선이수제(UP)의 통계학 표준교육과정 개발 연구
-
이종학;
조완영;
송촌고등학교;
충북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25,
2011,
pp.653-679)
-
32
-
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모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 시범 단원 개발
-
황혜정;
조완영;
고호경;
조선대학교;
충북대학교;
아주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E: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,
v.31,
2017,
pp.331-347)
-
33
-
학교 수학에서의 '증명'
-
조완영;
권성룡;
충북대학교;
서울탑동초등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1,
2001,
pp.385-402)
-
34
-
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
-
김미순;
조완영;
충북대학교 대학원;
충북대학교;
(수학교육 논문집,
v.32,
2018,
pp.79-96)
-
35.
- Piaget의 반영적 추상화에 기초한 수학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
- 조완영
-
한국교원대학교, 국내석사,
iv,84p., 1995
-
36
-
수학교사의 전문적 지식과 수학과 PCK
-
조완영;
충북대학교 수학교육과;
(대한수학교육학회 2009년도 제36회 수학교육학 논총,
v.2009,
2009,
pp.305-318)
-
37
-
수학교육의 수업 원리로서의 반영적 추상화
-
류희찬;
조완영;
;
(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=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,
v.4,
1994,
pp.237-253)
-
38.
- Gorenstein環과 標準加群에 關한 硏究
- 조완영
-
전북대학교, 국내박사,
ii, 49 p., 2003
-
39
-
Freudenthal의 교수학적 현상학에 기반한 일차함수 개념 수학화 과정 사례 분석
-
김은숙;
조완영;
남성중학교;
충북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61,
2022,
pp.419-439)
-
40
-
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하영역의 수학화 교수학습 방법
-
정보나;
류희찬;
조완영;
오창중학교;
교원대학교;
충북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12,
2002,
pp.543-5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