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A Restorative Approach to Buddhist Ritual of Koguryo by the Mural Painting on Jangcheon Tomb No.1
-
주수완,;
;
(불교문예연구 = The journal of buddhist culture and art,
v.10,
2018,
pp.247-275)
-
32
-
降下에서 來迎으로 -내영도상의 기원과 전개-
-
주수완,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79280,
2013,
pp.321-346)
-
33
-
고려불화의 미적 특질과 그 계통성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2,
pp.221-259)
-
34
-
토함산 석굴 문수·보현보살상 연구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5,
pp.97-120)
-
35
-
영산회상도상의 기원과 전파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3,
pp.59-86)
-
36
-
미륵의좌상(彌勒倚坐像)의 도상적 기원에 대한 연구 - 아잔타 17굴 ⟨도리천강하⟩도상을 중심으로 -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진단학보,
v.0,
2011,
pp.175-213)
-
37
-
대승설법도상의 두 계보 연구
-
주수완;
사한국미술사연구소;
(강좌미술사,
v.0,
2006,
pp.309-332)
-
38
-
조선 전반기 불교건축과 예배상과의 관계에서 본 도상의미 연구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1,
pp.396-436)
-
39
-
막고굴 335호굴 유마경변의 도상분석을 통한 사천왕 도상 연구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4,
pp.197-222)
-
40
-
조선 후반기 제2기 불교건축과 예배상과의 관계에서 본 도상의미 연구
-
주수완;
고려대학교;
(강좌미술사,
v.0,
2013,
pp.323-3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