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"Femina est mas occasionatus"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에 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4,
pp.67-98)
-
32
-
중세 교회의 여성관 -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재검토-
-
차용구;
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3,
pp.71-100)
-
33
-
서양 중세 로마네스크와 고딕예술에 나타난 여성의 모습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서양중세사연구,
v.10,
2000,
pp.145-168)
-
34
-
참회고행지침서에 나타난 중세 여성에 대한 문화사적 접근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7,
pp.1-32)
-
35
-
; 김중기 지음,『고딕 문화의 탄생』 ; (미당, 2003), 287쪽
-
차용구;
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3,
pp.1-38)
-
36
-
필립 아리에스의 죽음관에 대한 연구: 죽음에 대한 중세인의 태도를 중심으로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09,
pp.149-174)
-
37
-
아내의 반란 - 12세기의 부부갈등에 관한 사례 연구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서양중세사연구,
v.0,
2013,
pp.107-134)
-
38
-
여성, 결혼, 문화 전파: 오토 2세와 테오파노의 결혼식(972)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숭실사학,
v.0,
2016,
pp.391-423)
-
39
-
연구의 축적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 - 서양중세사연구 현황 (2013~2014)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15,
pp.193-210)
-
40
-
서양 중세의 남장여성(男裝女性) - Hildegund von Schönau의 역사성 재검토 -
-
차용구;
중앙대학교;
(역사학연구,
v.0,
2009,
pp.137-1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