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고려시대 東明에 대한 인식 - 국가제사를 중심으로 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09,
pp.143-176)
-
32
-
한국 고대 신모(神母)와 국가제의(國家祭儀) –유화와 선도산 신모를 중심으로–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6,
pp.7-42)
-
33
-
신라의 賓禮 -당 使臣을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1,
pp.37-75)
-
34
-
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‘통일신라’ 서술과 그 내용 분석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08,
pp.33-76)
-
35
-
실학자들의 新羅史 연구 방법과 그 해석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1,
pp.145-176)
-
36
-
신라의 시조묘 제사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03,
pp.275-297)
-
37
-
한국 고대의 宮中儀禮 - 卽位禮와 朝賀禮를 중심으로 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13,
pp.1-40)
-
38
-
신라의 凶禮 수용과 그 의미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2,
pp.31-63)
-
39
-
신라 중대 오례와 왕권-오례 수용을 중심으로-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06,
pp.127-165)
-
40
-
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
-
채미하;
경희대학교;
(신라사학보,
v.0,
2011,
pp.75-11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