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영남지역 지역사와 민속지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16,
2003,
pp.427-454)
-
32
-
[서평]시집살이 노래, 그 ‘균열의 목소리’ 읽기-이정아, 『시집살이 노래와 말하기의 욕망』(혜안, 2010)에 대한 서평-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20,
2011,
pp.245-250)
-
33
-
서술성모의 신화적 정체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동아시아고대학,
v.0,
2007,
pp.173-206)
-
34
-
전통사회의 여성과 남성 : 가부장 談論과 여성 억압의 現實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7,
2005,
pp.7-40)
-
35
-
근작 여성 생애가사의 담론 특성과 여성문화적 의미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23,
2014,
pp.5-55)
-
36
-
안동 지역의 ‘산할매’ 신앙과여성 조상의 신격화 전통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25,
2015,
pp.171-206)
-
37
-
한일 ‘삼년고개’ 설화의 비교로 본 설화 원류와 변용의 문제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7,
pp.75-106)
-
38
-
동신당(洞神堂) 수난의 마을사와 민중적 기억의 재현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0,
2012,
pp.185-222)
-
39
-
이야기로 재현된 여성의 삶과 역사 - 신동흔 외 지음, 『시집살이 이야기 집성』 1-10, 박이정, 2012.-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13,
pp.461-468)
-
40
-
부자 이야기의 주제와 민중적 상상력
-
천혜숙;
안동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09,
pp.37-7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