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0건 중 150건 출력
, 4/15 페이지
-
31
-
10.26 사태에서 최규하의 정국수습 과정과 그 한계에 관한 연구
-
박진현;
신재철;
한양대학교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32,
2024,
pp.403-422)
-
32
-
파생법과 합성법이 겹친 복합어의 성분 구조
-
최규수;
이민희;
;
(우리말연구,
v.,
2016,
pp.55-82)
-
33.
- 朝鮮後期 차문화 中興祖의 美的 삶과 茶美論 硏究
- 이경순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39 장, 2017
-
34.
- A study on Guum-dang's tea
- 김현호
-
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, 국내석사,
P105, 2014
-
35.
- 금당(錦當) 최규용(崔圭用)의 다의(茶儀) : 『금당다화錦當茶話』 를 중심으로
- 이향지
-
동명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14 p., 2021
-
36
-
한국어 용언 관형사형과 명사형의 문법 정보 표시 방법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한글,
v.0,
2014,
pp.61-87)
-
37
-
'되다'와 '지다'의 피동성에 관하여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한글,
v.0,
2005,
pp.101-134)
-
38
-
한국어 용언 종결형의 문법 정보 표시 방법
-
최규수;
부산대학교;
(한글,
v.0,
2012,
pp.5-34)
-
39
-
계녀가류 규방가사에서 ⟨貴女歌⟩의 특징적 면모와 ‘貴女’의 의미
-
최규수;
명지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26,
2009,
pp.341-370)
-
40
-
대학 작문에서 자기를 소개하는 글쓰기의 현실적 위상과 전망
-
최규수;
명지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05,
pp.581-6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