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색인어 정규화 및 응답 필터링을 이용한 검색기반 채팅 모델
-
이현구;
김민경;
김진태;
김학수;
이연수;
최맹식;
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;
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;
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;
강원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;
(주)엔씨소프트;
(주)엔씨소프트;
(한국어정보학회 2017년도 제29회 한글및한국어정보처리학술대회,
v.2017,
2017,
pp.197-200)
-
32
-
개교 50주년 기념 학술발표회 특집 : 신라 가야문화권에서 본 백제문화의 이해 ; 능산리 백제고분 출토 장식구에 관한 일고
-
최맹식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백제문화,
v.0,
1998,
pp.153-185)
-
33
-
統一新羅 줄무늬 및 덧띠무늬 토기병에 관한 小考
-
최맹식;
국리문화재연구소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0,
1991,
pp.67-100)
-
34
-
皇龍寺址 外 出土 평기와 調査硏究
-
최맹식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문화사학,
v.0,
2002,
pp.113-182)
-
35
-
風納土城 평기와에 관한 一考 -미래마을 1호 竪穴유적 출토기와를 중심으로-
-
최맹식;
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;
(문화사학,
v.0,
2007,
pp.229-246)
-
36
-
乘生氣의 觀點에서 본 新羅 主要遺蹟 -慶州 月城, 東宮과 月池, 官衙, 瞻星臺의 地氣를 중심한 風水的 觀點-
-
최맹식;
국립무형유산원;
(마한백제문화,
v.25,
2015,
pp.165-190)
-
37
-
統一新羅 평가와 硏究
-
최맹식;
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;
(호서고고학,
v.0,
2002,
pp.331-360)
-
38
-
특집논문 : 백제 무왕과 그의시대 ; 무왕시대(武王時代)의 불교건축(佛敎建築)과 기와 -막새를 중심으로-
-
최맹식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백제문화,
v.0,
2005,
pp.99-110)
-
39
-
사회관계망 자동 구축을 위한 사회 관계 인스턴스 추출
-
최맹식;
김학수;
강원대학교;
강원대학교;
(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,
v.17,
2011,
pp.548-552)
-
40
-
彌勒寺址出土 기와 등 紋樣에 對한 調査硏究
-
장경호;
최맹식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리문화재연구소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0,
1986,
pp.78-1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