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唐前期 進士科와 明經科 급제자의 檢證 ― 합격 시기가 분명한 인물을 중심으로 ―
-
하원수;
성균관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18,
pp.173-219)
-
32
-
唐前期 進士科와 明經科 급제자의 성격 분석 一例 ― 科擧制度의 定着 과정 解明을 위한 試論 ―
-
하원수;
성균관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18,
pp.227-278)
-
33
-
敦煌 발견 初學者用 學習書 序文類 記錄의 譯注 ― 民間에서의 학습 환경 이해를 위한 기초 작업 ―
-
하원수;
성균관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22,
pp.249-283)
-
34
-
「原道」 小考 ― 道의 구현 주체와 표현 방식 문제를 중심으로 ―
-
하원수;
성균관대학교;
(중국고중세사연구,
v.0,
2021,
pp.239-274)
-
35
-
서송(徐松)의 『등과기고(登科記考)』와 과거제도사(科擧制度史) 연구— 전근대(前近代) 문헌의 가치를 찾는 한 단서(端緖) —
-
하원수;
성균관대학교;
(사림,
v.0,
2025,
pp.275-304)
-
36.
- 北宋初期 轉運使의 設置와 運用
- 황현
-
성균관대학교, 국내석사,
vi, 87 p., 2014
-
37.
- 北宋 시기 境外民 流入의 특징과 그들에 대한 정책 : 歸明人의 사례를 중심으로
- 왕리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4
-
38.
- 北宋代 科擧 策試의 展開 樣相 : 士人 輿論의 활성화와 그 統制와 관련하여
- 유승규
-
성균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93 p., 2012
-
39.
- 唐代 流刑 制度의 活用과 變容
- 김진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21 p., 2011
-
40.
- 北魏 代人의 형성과 그 위계질서의 변동 : 姓族詳定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
- 박병윤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7 p.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