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14건 중 1,000건 출력
, 4/100 페이지
-
31
-
서평 노백린 연구의 새로운 지평선 열기 (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, 2003)
-
한철호;
동국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04,
pp.263-270)
-
32
-
광복 60주년과 한국독립운동사 연구
-
윤선자;
전남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6,
pp.169-198)
-
33.
-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 서술과 자료 분석
- 박나정
-
수원대학교, 국내석사,
77 p., 2014
-
34
-
한국 독립운동사에서上海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
-
김희곤;
안동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15,
pp.151-173)
-
35
-
한국독립운동사 개설서의 중국 관내와 만주지역 서술 분석-분단시대 독립운동사연구의 境界-
-
김주용;
원광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2,
pp.409-440)
-
36
-
[특집소개] 한국독립운동사의 국제적 성격과 제국주의-식민지 문제에 대한 접근
-
김항기;
독립기념관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3,
pp.9-12)
-
37
-
『한국독립운동사연구』 50집 간행(1987~2015)의 성과와 연구사적 의의
-
박걸순;
충북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5,
pp.257-302)
-
38
-
30년간 중국 학계의 한국독립운동사 연구
-
王建宏;
中國 延安大學 歷史文化學院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3,
pp.7-59)
-
39
-
중국에서 한국여성독립운동사 연구 현황과 과제
-
姜秀玉;
동염;
中国延边大学 人文社会科学学院历史系;
중국 연변대학中國 延邊大學;
(여성과 역사,
v.0,
2019,
pp.219-242)
-
40
-
『고등학교 한국근˙현대사』 교과서의 구국ㆍ독립운동사 관련 내용 분석
-
한철호;
동국대학교;
(한국학논총,
v.32,
2009,
pp.53-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