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이주배경 KSL 학생 대상 한국어 문해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시론적 논의 - 지역아동센터의 한국어 교사 대상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-
-
한하림;
국립한밭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8,
2025,
pp.209-245)
-
32
-
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불안 연구
-
한하림;
이지혜;
고려대학교;
건양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18,
pp.333-360)
-
33
-
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담화의 상황 맥락 연구
-
한하림;
양재승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14,
pp.457-485)
-
34
-
코퍼스 분석 방법을 사용한 유럽공통참조기준(CEFR)의 등급 기술문 고찰 -한국어능력시험(TOPIK)의 국제적 통용성 강화를 위하여-
-
한하림;
이인혜;
국립한밭대학교;
전남대학교;
(한국어교육,
v.36,
2025,
pp.281-312)
-
35
-
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
-
최은지;
안미홍;
한하림;
원광디지털대학교;
고려대학교;
국립한밭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25,
pp.395-427)
-
36
-
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요구조사 연구- ⟨사고와표현⟩ 과목을 중심으로
-
오선경;
이선영;
유선숙;
한하림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교양교육연구,
v.12,
2018,
pp.143-166)
-
37
-
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아동 학습자의 담화적 능력 발달을 위한 상호적 쓰기 교육 방안
-
최은지;
노정은;
유선숙;
이경;
한하림;
원광디지털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한국어학,
v.62,
2014,
pp.421-451)
-
38
-
온라인 세종학당 특별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
-
안정민;
김민경;
황선영;
한하림;
최은지;
한국외국어대학교;
고려대학교;
아주대학교;
한밭대학교;
원광디지털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23,
pp.345-371)
-
39
-
세종학당 ‘사이버한국어’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표준 모형 개발 연구
-
이유경;
이승연;
황선영;
한하림;
최은지;
경기대학교;
삼육대학교;
아주대학교;
한밭대학교;
원광디지털대학교;
(돈암어문학,
v.44,
2023,
pp.327-353)
-
40
-
세종학당 온라인 한국어 고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
-
박진욱;
한하림;
최은지;
황선영;
이미향;
대구가톨릭대학교;
한밭대학교;
원광디지털대학교;
아주대학교;
영남대학교;
(Journal of korean Culture,
v.63,
2023,
pp.39-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