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8건 중 168건 출력
, 4/17 페이지
-
31.
- (A) study on a bamboo painting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
- 이은지
-
誠信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70p., 2002
-
32.
- 현장성에서 보이는 풍경 재해석 연구 :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
- 박준우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35장, 2020
-
33.
- 조선시대 총석정도의 제작 목적과 장황 유형 연구
- 박지해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4
-
34
-
圭南 河百源의 海遊詩畵帖 고찰
-
李英淑;
;
(文化史學 =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,
v.2007,
2007,
pp.1041-1070)
-
35.
- 조선 후기 에로티시즘 회화에 관한 연구
- 강윤미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57 p., 2009
-
36
-
국립중앙박물관 소장 《회혼례도첩》을 통해 본 조선 후기 사가기록화의 변화
-
장진아;
국립대구박물관;
(美術資料,
v.102,
2022,
pp.66-97)
-
37.
- 중학교 한국화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: 풍속화 감상과 칠교놀이를 이용한 실기교육을 통하여
- 정경미
-
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72p., 2003
-
38
-
阿克敦 《奉使圖》硏究
-
정은주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46,
2005,
pp.201-245)
-
39.
- 豹菴 의 《松都紀行帖》硏究
- 金健利
-
이화여자대학교, 국내석사,
iv, 129 p., 2001
-
40
-
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《해악전도첩(海嶽全圖帖)》
-
오다연;
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;
(美術資料,
v.96,
2019,
pp.54-8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