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31
-
역신(疫神)의 정체와 신라<처용가>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;
(한국학,
v.34,
2011,
pp.127-152)
-
32
-
<도산십이곡(陶山十二曲)>의 의미 재고(再考)II
-
황병익;
;
(한국학,
v.36,
2013,
pp.270-297)
-
33
-
Second Study on the Meaning of 〈Dosansibigok(陶山十二曲)〉
-
황병익;
;
(정신문화연구 = Korean studies quarterly,
v.36,
2013,
pp.271-299, 366)
-
34
-
「원왕생가」의 ‘서방(西方)’에 대한 고찰: 정토불교의 맥락을 중심으로
-
김호성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3,
pp.11-40)
-
35
-
孝成王 대의 정치 현실과 ⟨怨歌⟩의 의미 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4,
pp.429-465)
-
36
-
⟨도산십이곡(陶山十二曲)⟩의 의미 재고(再考)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2,
pp.359-391)
-
37
-
「제망매가(祭亡妹歌)」의 의미 재고찰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14,
pp.195-220)
-
38
-
三國遺事 ‘水路夫人’ 條와 ⟨獻花歌⟩의 意味 再論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7,
pp.5-40)
-
39
-
⟨滿殿春別詞⟩ 5연의 어휘 재고
-
황병익;
경성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4,
pp.154-188)
-
40
-
高麗,朝鮮時代 歌婢의 文學的 機能 考察
-
황병익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30,
2002,
pp.9-2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