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23건 중 523건 출력
, 46/53 페이지
-
451
-
薦福承古, 覺範慧洪 그리고 普照智訥의 三玄門 해석
-
정영식;
불교문화연구원;
(한국불교학,
v.0,
2009,
pp.5-34)
-
452
-
『朝鮮禪敎史』에 나타난 누카리야 가이텐(忽滑谷快天)의 한국선종 인식 - 「조선」편을 중심으로 -
-
정영식;
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;
(禪學(선학),
v.0,
2015,
pp.165-198)
-
453
-
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한 전력품질 데이터 압축에 관한 연구
-
정영식;
인천대학교;
(전기학회논문지 A권,
v.54,
2005,
pp.561-566)
-
454
-
아시아 근대불교의례와 「禪門日誦」의 유통
-
정영식;
불교문화연구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0,
pp.187-212)
-
455
-
고려중기의 『禪門寶藏錄』에 나타난 九山禪門의 선사상
-
정영식;
불교문화연구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9,
pp.345-364)
-
456
-
한일 양국의 근대불교와 신흥종교의 성립에 관한 비교연구 ― 법화경신앙을 중심으로 ―
-
정영식;
불교문화연구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9,
pp.39-61)
-
457
-
만해 한용운의 자아(自我) 개념과 선(禪)
-
정영식;
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;
(禪文化硏究,
v.0,
2018,
pp.59-91)
-
458
-
나말여초의 佛法東流說에 대한 연구
-
정영식;
사 장경도량고려대장경연구;
(禪學(선학),
v.0,
2017,
pp.13-41)
-
459
-
혜암성관(慧菴性觀, 1920~2001)의 선사상과 한국불교에서의 위상
-
정영식;
성균관대학교 유교철학·문화콘텐츠연구소;
(불교문예연구,
v.13,
2019,
pp.297-328)
-
460
-
송대 선승들의 정토사상-大慧宗杲를 중심으로
-
정영식;
고려대장경연구소;
(禪學(선학),
v.0,
2018,
pp.5-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