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8건 중 108건 출력
, 5/11 페이지
-
41
-
작품서사 분석을 통한 ⟨진달래꽃⟩의 ‘역겨워’와 ⟨가시리⟩의 ‘선하면’에 대한 이해
-
정운채;
건국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15,
2010,
pp.221-235)
-
42
-
외상과 기표, 그 변증법적 주체화로서의 ⟨가시리⟩ 고찰 -트라우마의 상징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-
-
오수엽;
안동고등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59,
2021,
pp.285-317)
-
43.
- 가악과 민요를 활용한 소설 창작기법 연구
- 김연옥
-
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97 p., 2012
-
44.
- 고교 <문학>교과서에 수록된 속요의 교과내용과 학습지도안 연구
- 진유나
-
단국대학교, 국내석사,
iv, 81장, 2006
-
45
-
감성 메커니즘으로서의 ‘哀而不悲’ - 서정시의 계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-
-
조태성;
전남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6,
2012,
pp.397-418)
-
46.
- 高麗俗謠의 硏究
- 전규태
-
건국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36p., 1974
-
47
-
고전시가 여성 화자 교육 비판적 검토 (2)
-
조희정;
조선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3,
pp.329-378)
-
48.
- 고려속요의 여성화자 연구 : 표현 방법과 정서 표출방식을 중심으로
- 조수현
-
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75p., 2010
-
49.
- 高麗俗謠에 나타나는 恨의 의미 硏究
- 김장호
-
전주대학교, 국내석사,
57 p., 1999
-
50
-
고전시가 평설에 나타난 감상의 즐거움
-
조하연;
한남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17,
2009,
pp.161-1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