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620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19세기 후반~20세기 전반 강경 덕유정계의 지역 사회 활동
-
송현강;
;
(역사와 담론 = History and discourse : journal of historical review,
v.61,
2012,
pp.333-369)
-
42.
- 지역축제 이벤트의 평가 및 활성화방안 연구 : 강경젓갈축제의 사례를 중심으로
- 노진철
-
목원대학교 언론광고홍보대학원, 국내석사,
vi, 86p., 2004
-
43
-
젓갈 생산의 공간적 특성 변화 - 강경과 곰소 지역의 비교 -
-
송경언;
;
(국토지리학회지,
v.43,
2009,
pp.159-172)
-
44
-
해방 이후 충남 강경(江景)의 ‘개성상인’과 면직물 직조업
-
김혜숙;
원광디지털대학교;
(역사민속학,
v.0,
2019,
pp.229-260)
-
45
-
지적측량기준점 원점 일원화 방안 - 강경읍 사례를 중심으로
-
최승영;
이정범;
;
(한국지적정보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,
v.7,
2005,
pp.103-115)
-
46
-
황룡사 강경법회 -신라 강경법회의 유형과 관련하여-
-
김복순;
동국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7,
pp.143-177)
-
47
-
미중 전략적 경쟁시대 호주의 대중국 강경정책 전환 원인 분석
-
이민규;
서울연구원;
(중국지식네트워크,
v.19,
2022,
pp.281-314)
-
48
-
강경애론(姜敬愛論): 작가의식을 중심으로
-
김낙현;
중앙대학교;
(한국연구,
v.0,
2024,
pp.145-156)
-
49
-
내부단속 위한 북한의 외줄타기 : 대외 강경도발 통한 체재단속 강화
-
심가현;
;
(정경뉴스= Politic & economic news,
v.112,
2009,
pp.42-45)
-
50
-
일제강점기 도시기반시설의 설치를 통해 본 강경의 도시화 과정
-
현태준;
김기주;
이연경;
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;
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부;
인천대학교 지역인문정보융합연구소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28,
2019,
pp.55-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