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4건 중 114건 출력
, 5/12 페이지
-
41
-
관용구에서의 의미-형태 동기부여 관계 - 인지기호론적 접근
-
강병창;
;
(독일어문학,
v.20,
2012,
pp.25-50)
-
42
-
한국어 연결어미 ‘-ㄴ데’의 독일어 대응과 수사관계
-
강병창;
;
(독일어문학,
v.16,
2008,
pp.177-200)
-
43
-
언어-이미지 텍스트로서의 인쇄광고에 나타나는 다중기호양식 은유 - 「슈피겔」의 금융광고를 중심으로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53,
2012,
pp.5-27)
-
44
-
병렬 코퍼스를 이용한 독일어 교육의 가능성
-
강병창;
최병진;
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05,
pp.57-72)
-
45
-
Die koreanische Partikel (n)ŭn und ihre Entsprechungen im Deutschen
-
강병창;
한국외대;
(독어학,
v.0,
2008,
pp.1-23)
-
46
-
내러티브 유머와 마이크로픽션의 결말구조 비교
-
강병창;
;
(독일어문학,
v.22,
2014,
pp.21-46)
-
47
-
독일어 ‘주제화’ 문장의 정보구조와 텍스트 응집성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학,
v.0,
2005,
pp.113-133)
-
48
-
인용과 인용부호 사이의 불일치 – 따옴표 사용의 몇 가지 문제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1,
2020,
pp.183-205)
-
49
-
마크 트웨인과 아바스 키더의 독일어에 대한 태도 – 비모국어 화자의 언어 이데올로기에 대한 고찰
-
강병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63,
2022,
pp.5-28)
-
50
-
[기술개발 사례] 소용량 ATM 교환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
-
강병창;
이종남;
문희근;
송덕영;
채상수;
이교순;
문경탁;
박성용;
서영익;
;
(텔레콤,
v.10,
1994,
pp.54-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