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08건 중 408건 출력
, 5/41 페이지
-
41
-
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의 현황과 전망
-
강현화;
연세대학교;
(언어사실과 관점,
v.27,
2011,
pp.5-42)
-
42
-
연구 방법론의 이론과 실제,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서평: Sandra Lee McKay(2006) Researching Second Language Classrooms
-
강현화;
연세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,
v.33,
2008,
pp.79-93)
-
43
-
한국어교육용 고급 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
-
강현화;
연세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,
v.42,
2015,
pp.1-28)
-
44
-
한국어교육용 초급 어휘 선정 연구
-
강현화;
;
(문법 교육,
v.21,
2014,
pp.1-26)
-
45
-
한국어 어휘교육 연구의 이론과 실제
-
강현화;
연세대학교;
(언어와 문화,
v.9,
2013,
pp.1-38)
-
46
-
N+N 복합 구성의 자료 구축 및 분석 연구-모두의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의 코퍼스를 바탕으로-
-
강현화;
연세대학교;
(문법 교육,
v.53,
2025,
pp.1-31)
-
47
-
코퍼스에 기반한 ‘-잖다’의 화행적 특성 고찰
-
강현화;
;
(한국어 의미학,
v.28,
2009,
pp.1-28)
-
48
-
한국어학습을 위한 프레올러지에 관한 연구 −한중 대조 자료를 중심으로−(2)
-
강현화;
경희대학교;
(한국어교육,
v.16,
2005,
pp.1-22)
-
49
-
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-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-
-
강현화;
경희대학교;
(이중언어학,
v.0,
2007,
pp.1-26)
-
50
-
한국어교육용 복합어의 조어 단위 연구 - 한국어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-
-
강현화;
연세대학교;
(언어와 문화,
v.11,
2015,
pp.45-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