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0건 중 170건 출력
, 5/17 페이지
-
41.
- 고려시대 국자감 七齋를 통한 교육개혁
- 신영배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64 p., 2009
-
42
-
尹鑴의 「讀尙書」 연구
-
김만일;
;
(儒敎 思想 硏究,
v.23,
2005,
pp.57-84)
-
43
-
미수(眉叟) 허목(許穆)의 상서관(尙書觀) - 난(亂)에서 치(治)로의 지향 -
-
이은호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유학연구,
v.47,
2019,
pp.27-42)
-
44
-
程頤의 隨時變易的 의리역학과 理史統一의 역사철학적 지평 - 역사콘텐츠적 발상 -
-
김연재;
공주대학교 철학과;
(철학논총,
v.117,
2024,
pp.67-97)
-
45
-
經傳解釋의 中心
-
서대원;
원광대;
(중국학보,
v.52,
2005,
pp.71-100)
-
46
-
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
-
안재순;
강원대학교;
(孔子學,
v.0,
2010,
pp.257-285)
-
47
-
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
-
김인규;
영산대학교;
(동방학,
v.0,
2010,
pp.35-58)
-
48
-
평택대학교회(2004-2024): 시민과 연합하는 대학교회
-
김동수;
평택대학교;
(대학과 선교,
v.0,
2024,
pp.249-273)
-
49
-
寒洲 李震相과 그 學派 硏究의 現況과 展望
-
李炯性;
;
(儒敎 思想 硏究,
v.39,
2010,
pp.5-59)
-
50
-
碧史 李佑成의 조선시대사 이해
-
김문식;
단국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3,
pp.47-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