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2기 4·3특별법 체제의 쟁점과 난점
-
고성만;
제주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88,
2021,
pp.193-221)
-
42
-
4·3 ‘희생자’의 변용과 활용 — 무장대 출신자의 과거청산 경험을 사례로
-
고성만;
제주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21,
pp.263-292)
-
43
-
경계 위의 과거청산-제주4·3사건과 대만2·28사건 비교사 연구를 위한 시론-
-
고성만;
제주대학교;
(제주도연구,
v.56,
2021,
pp.1-20)
-
44
-
4⋅3과 10⋅19, 비교연구를 위한 초국경적 상상력과 과제
-
고성만;
제주대학교;
(탐라문화,
v.0,
2023,
pp.101-128)
-
45
-
역사 왜곡과 법적 규제: 제주4·3특별법 제13조를 중심으로
-
고성만;
제주대학교;
(통일인문학,
v.95,
2023,
pp.5-36)
-
46
-
‘해결’ 전야에 4·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-22대 국회 4·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
-
고성만;
제주대학교 사회학과;
(제주도연구,
v.62,
2024,
pp.265-284)
-
47
-
충무부근 굴 양식어장의 환경에 관하여
-
임두병;
조창환;
권우섭;
통영수산전문대학;
통영수산전문대학;
통영수산전문대학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8,
1975,
pp.61-67)
-
48
-
태평양 전쟁 말기 요카렌(予科練)의 제주도 주둔과 위안소 -성산 지역을 중심으로-
-
조성윤;
고성만;
제주대학교;
제주대학교;
(탐라문화,
v.0,
2019,
pp.95-122)
-
49
-
1948 일본행 엑소더스 - 연합국 최고사령부 보고서를 통해 본 제주 사람들의 밀항 -
-
문경수;
고성만;
立命館大學;
제주대학교;
(日本學(일본학),
v.58,
2022,
pp.61-81)
-
50
-
한반도 남동 연안내만 입자유기물질의 시<TEX>$ cdot$</TEX>공간 변동 특성
-
이필용;
강창근;
최우정;
이원찬;
양한섭;
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;
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;
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;
국립수산진흥원 환경관리과;
부경대학교 해양학과;
(한국수산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,
v.34,
2001,
pp.57-6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