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中國 傳統 法醫學으로 본 明代 公案小說
-
고숙희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3,
pp.31-62)
-
42
-
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행정체제 : A시의 새터민 행정을 중심으로
-
고숙희;
세명대학교;
(지방행정연구,
v.25,
2011,
pp.3-24)
-
43
-
《鹿洲公案》에 나타난 淸初 지방관의 海防意識
-
고숙희;
중앙승가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22,
pp.127-153)
-
44
-
北宋의 인문지리 공간 開封府― 樂史의 ≪太平寰宇記≫ 권1 <開封府> 해제 및 역주
-
이민숙;
정지호;
고숙희;
한국외국어대학교;
경희대학교;
중앙승가대학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21,
pp.219-250)
-
45
-
《百家公案》과 《龍圖公案》, 그리고 法醫學의 世界
-
고숙희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1,
pp.89-110)
-
46
-
鹿洲公案; 18C초 공안서사물속 사회범죄의 자화상
-
고숙희;
한양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2,
pp.95-119)
-
47
-
제천시 공무원의 보직 및 승진관리 발전방안: 남녀 간 인식 및 실제차이를 중심으로
-
고숙희;
세명대학교;
(한국공공관리학보,
v.22,
2008,
pp.283-306)
-
48
-
여성의 사회적 권한향상을 위한 정책적 접근: 16개 시도의 여성권한척도(GEM)을 중심으로
-
고숙희;
세명대학교;
(한국정책학회보,
v.17,
2008,
pp.245-266)
-
49
-
≪百家公案≫과 ≪龍圖公案≫의 이중 시공간
-
고숙희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15,
2002,
pp.123-150)
-
50
-
《百家公案》과 《龍圖公案》 속 犯罪와 訴訟
-
고숙희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07,
pp.117-13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