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8건 중 378건 출력
, 5/38 페이지
-
41
-
인지적 도제이론을 적용한기악 합주 프로그램이 합주능력에 미치는 영향
-
김윤정;
수내초등학교;
(음악교육연구,
v.44,
2015,
pp.25-50)
-
42.
- 고든(E. Gordon)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6학년 기악 합주 수업안 개발 및 효과 분석 연구 : 음악인지능력을 중심으로
- 이은철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26 p, 2020
-
43
-
민속 기악합주곡 ‘남도굿거리’의 구조적 특성
-
강혜경;
고려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5,
pp.169-192)
-
44
-
오르프 기악합주 프로그램과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
-
윤문정;
상명대학교;
(음악교육공학,
v.0,
2013,
pp.1-16)
-
45.
- 협동학습 이론을 적용한 기악합주 수업 지도안 연구 : 엘가의《위풍당당 행진곡》을 중심으로
- 한지수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70장, 2018
-
46
-
낭독과 클래식 기악 음악의 융합 - 레싱의 예술기호론으로 분석한 서울 바로크 합주단 앙상블 -
-
최혜성;
성균관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4,
2022,
pp.1037-1058)
-
47.
- 긴장과 이완 효과를 적용한 음악 편곡방법 연구 : 중등학교 기악 합주(오케스트라 운영)를 중심으로
- 김진회
-
국립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84 p., 2024
-
48
-
포괄적 음악성(Comprehensive Musicianship) 개발을 위한 기악 합주 지도법
-
박초연;
진주교육대학교;
(음악교육연구,
v.43,
2014,
pp.83-108)
-
49.
- 초등음악 교육과정에 따른 단계별 즉흥 기악 합주 학습안 연구
- 문명아
-
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83p., 2003
-
50.
- 초등학교 기악합주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: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
- 김한룡
-
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1p., 20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