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71건 중 371건 출력
, 5/38 페이지
-
41
-
여고생의 동적가족화(KFD)에 나타난 인물상의 특성과 신경증과의 관계
-
김갑숙;
전영숙;
영남대학교;
전영숙;
(가족과 가족치료,
v.12,
2004,
pp.197-223)
-
42
-
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활용한 농인(聾人) 성인여성의 미술치료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
-
백숙희;
김갑숙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미술치료연구,
v.28,
2021,
pp.987-1014)
-
43
-
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얼굴자극평가(FSA) 반응 특성의 관계
-
손옥경;
김갑숙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미술치료연구,
v.28,
2021,
pp.717-740)
-
44
-
실업자의 불안과 별-파도그림의 반응양식
-
이정임;
김갑숙;
;
(미술치료연구,
v.13,
2006,
pp.839-860)
-
45
-
사회적 기술 향상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
-
이초림;
김갑숙;
;
(재활심리연구,
v.25,
2018,
pp.259-281)
-
46
-
중학생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: 성차를 중심으로
-
김갑숙;
박치홍;
;
(재활심리연구,
v.22,
2015,
pp.115-130)
-
47
-
미술치료사의 사례개념화 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
-
하신혜;
김갑숙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미술치료연구,
v.27,
2020,
pp.283-305)
-
48
-
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
-
이미옥;
김갑숙;
영남대학교;
영남대학교;
(한국가족복지학,
v.12,
2007,
pp.129-148)
-
49
-
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공감능력과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
-
강민영;
김갑숙;
영남대학교 미술치료학과;
영남대학교;
(미술치료연구,
v.29,
2022,
pp.269-291)
-
50
-
성폭력상담자의 외상경험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의 관계: 외상신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
-
김갑숙;
이숙현;
;
(재활심리연구,
v.26,
2019,
pp.59-7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