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지체중복장애 학생의 AAC 지원을 위해 전문가 컨설팅에 참여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의 경험
-
박경옥;
김경양;
대구대학교;
부산장신대학교;
(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,
v.12,
2019,
pp.123-145)
-
42
-
지체·중복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여한 부모의 경험과 인식
-
김경양;
박경옥;
부산장신대학교;
대구대학교;
(지체.중복.건강장애연구,
v.62,
2019,
pp.207-229)
-
43
-
지체·중복장애학생 보호자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
-
김경양;
구민관;
부산장신대학교;
Texas woman's university;
(특수아동교육연구,
v.21,
2019,
pp.217-242)
-
44
-
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개별화교육계획 개발 및 실행요소 탐색: 문헌분석을 중심으로
-
이효정;
박은혜;
김경양;
동국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자폐성장애연구,
v.12,
2012,
pp.23-44)
-
45
-
초등학교에 통합된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(IEP)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: 포커스그룹분석
-
이효정;
김경양;
박은혜;
동국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정서·행동장애연구,
v.30,
2014,
pp.177-202)
-
46
-
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
-
구민관;
박영근;
김경양;
texas woman's university;
중부대학교;
부산장신대학교;
(특수아동교육연구,
v.22,
2020,
pp.81-103)
-
47
-
중도․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 학부모의 경험 및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: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
-
김경양;
표윤희;
이희연;
부산장신대학교;
위덕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특수교육,
v.16,
2017,
pp.33-62)
-
48
-
통합학급에서 협력적 AAC 지원이 발달장애 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
-
김경양;
한선경;
박은혜;
동국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자폐성장애연구,
v.15,
2015,
pp.19-44)
-
49
-
일반교사의 중도․중복장애학생 통합교육 경험 및 지원요구
-
표윤희;
이희연;
김경양;
위덕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부산장신대학교;
(특수아동교육연구,
v.19,
2017,
pp.295-322)
-
50
-
중도・중복장애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일반학교 관리자의 인식 및 관리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: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
-
이희연;
표윤희;
김경양;
경인교육대학교 특수통합교육과;
위덕대학교;
부산장신대학교;
(특수교육,
v.16,
2017,
pp.111-13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