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7건 중 177건 출력
, 5/18 페이지
-
41
-
집단적 교사효능감, 개인적 교사효능감 및 교사협력 간 구조적 관계
-
권순형;
김도기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31,
2014,
pp.161-180)
-
42
-
초등 교과교육연구회 운영의 활성화 방안 연구
-
송광용;
김도기;
서울교육대학교;
서울봉천초등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22,
2005,
pp.227-252)
-
43
-
수업컨설팅의 개념과 위상
-
김도기;
김효정;
한국교원대학교;
서울영신초등학교;
(교원교육,
v.29,
2013,
pp.131-156)
-
44
-
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범운영 효과 분석
-
김갑성;
김도기;
한국교육개발원;
한국교원대학교;
(초등교육연구,
v.24,
2011,
pp.21-42)
-
45
-
초등학교의 사회자본이 교사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
-
김세정;
김도기;
인천주안북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초등교육연구,
v.23,
2010,
pp.193-213)
-
46
-
교장·교감과 교사 간 의사소통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
-
유미라;
김도기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교육행정학연구,
v.35,
2017,
pp.219-244)
-
47
-
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「전라북도 학교자치조례」제정과정 분석
-
국준봉;
김도기;
전주서일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지방교육경영,
v.25,
2022,
pp.31-57)
-
48
-
미래 사회 초등학교장의 역할 변화 전망
-
김관래;
김도기;
산운초등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지방교육경영,
v.25,
2022,
pp.95-118)
-
49
-
자유학기제에 대한 체제적 평가연구:CIPP 평가모형에 근거하여
-
김세영;
김도기;
한국교원대학교 학교경영연구소;
한국교원대학교;
(지방교육경영,
v.24,
2021,
pp.1-24)
-
50
-
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초등 수습교사의 수업 지원 및 학교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
-
서시연;
김도기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37,
2020,
pp.337-36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