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독일사민당의 위기와 정치적 선택: 제4기 대연합정부 출범과 통합 유럽
-
김면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유럽연구,
v.36,
2018,
pp.1-28)
-
42
-
유럽정치의 최근 동향과 정당체제의 변화
-
김면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유럽연구,
v.35,
2017,
pp.1-28)
-
43
-
독일 제19대 총선과 정당체제의 변화: 해적당의 실패와 독일대안당의 성공
-
김면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EU연구,
v.0,
2018,
pp.174-205)
-
44
-
유럽연합(EU) 사회정책의 최근 동향 분석: EPSR, EGD, 실행 계획 및 포르투선언을 중심으로
-
김면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유럽연구,
v.41,
2023,
pp.1-28)
-
45
-
미노슈 샤피크의 신(新)사회계약론 탐구: 유럽그린딜에의 함의
-
김면회;
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;
(EU연구,
v.0,
2024,
pp.3-34)
-
46
-
해적당의 등장과 정당체제의 변화 - 독일의 경우
-
김면회;
장준호;
한국외국어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EU연구,
v.0,
2012,
pp.141-171)
-
47
-
스칸디나비아 3국의 극우정당 발전 양상 비교 연구: 스웨덴 민주당의 전망을 중심으로
-
김면회;
정혜욱;
한국외국어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유럽연구,
v.31,
2013,
pp.25-45)
-
48
-
독일과 스웨덴 해적당 발전에 관한 비교 연구
-
김면회;
정혜욱;
한국외국어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유럽연구,
v.30,
2012,
pp.57-82)
-
49
-
유럽의회 상임위원회의대외적 역할과 의원외교
-
김면회;
김일곤;
한국외국어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(EU연구,
v.0,
2017,
pp.99-144)
-
50
-
유럽통합에서 나타난 보조성 원칙 연구
-
김재길;
김면회;
한국외국어대학교;
한국외국어대학교;
(EU연구,
v.0,
2010,
pp.67-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