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696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영상매체에 나타난 김수영 이미지 연구 -드라마 <명동백작>(2004)을 중심으로
-
손미영;
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8,
2022,
pp.89-96)
-
42
-
책, 은폐와 개진의 변증법 - 김수영 시의 ‘책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
-
김지녀;
;
(돈암語文學 = The Sungshi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1,
2008,
pp.77-104)
-
43
-
김수영 시에 나타난 양가적 의식
-
배개화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36,
2006,
pp.263-296)
-
44
-
김수영 시의 관념성
-
이근화;
;
(국어국문학,
v.137,
2004,
pp.379-406)
-
45.
-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시민성 연구
- 김봉관
-
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67p., 2005
-
46.
- 김수영 시세계 연구
- 황동상
-
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71 p., 1993
-
47
-
김수영 시에 나타나는 ‘아내’와 ‘여편네’의 정치성
-
Park, Ji-Hai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65,
2013,
pp.707-739)
-
48
-
Poet Imhwa and Kim Soo Young's dramatic experience
-
Kim, Eung-gyo;
;
(영주어문,
v.41,
2019,
pp.313-336)
-
49.
- 김수영 시의 풍자 연구
- 정현덕
-
경기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59p., 2002
-
50.
- 김수영 산문에 나타난 모호성 미학 연구
- 유움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60 p.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