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9건 중 129건 출력
, 5/13 페이지
-
41
-
한국 치의학 교육 평가인증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
-
김경년;
김윤진;
김주아;
김지연;
김각균;
이재일;
신제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재)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;
(大韓齒科醫師協會誌 =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,
v.53,
2015,
pp.201-215)
-
42
-
말레이시아 화인기업(華商)의 네트워크 활용 실태 조사
-
김주아,;
;
(中國과 中國學= China and sinology,
v.37,
2019,
pp.89-122)
-
43
-
대학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
-
홍미영;
강남화;
김주아;
;
(대한화학회지,
v.55,
2011,
pp.875-881)
-
44
-
현대 명상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
-
김주아;
황용섭;
이돈일;
;
(기초조형학연구,
v.18,
2017,
pp.99-110)
-
45
-
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설명 변인 및 유형화 분석
-
김주후;
김주아;
강선후;
아주대학교;
한국교육개발원;
한국싸이버대학교;
(교육방법연구,
v.18,
2006,
pp.221-237)
-
46
-
동남아 화인(華人)의 화문(華文)교육-인도네시아, 태국, 말레이시아, 싱가포르를 중심으로-
-
김주아;
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;
(중국연구,
v.76,
2018,
pp.239-265)
-
47
-
말레이시아 화인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
-
김주아;
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;
(중국연구,
v.81,
2019,
pp.23-39)
-
48
-
언어로 보는 중국의 ‘코로나19’ - 2020년 10대 신조어를 중심으로
-
김주아;
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;
(한중언어문화연구,
v.0,
2021,
pp.329-359)
-
49
-
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의 자국어 보급정책과 화문(華文)교육 -온라인교육을 중심으로-
-
김주아;
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;
(중국연구,
v.94,
2023,
pp.67-91)
-
50
-
MobileNet을 이용한 한국어 입모양 인식 시스템
-
이원종;
김주아;
손서원;
김동호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서울과학기술대학교;
(한국방송∙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,
v.2022,
2022,
pp.211-21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