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마이크로 토론(Micro Debate)을 활용한 CEDA 방식 토론 교육
-
김평원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0,
pp.281-312)
-
42
-
융합 R&E 프로젝트 활동이 화법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6,
pp.109-138)
-
43
-
논술 및 구술 통합 교육을 위한 축소 평가(SST) 모형의 효과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5,
pp.31-64)
-
44
-
중학교 자유학기에 실현된 융합 수업을 통해 본 초등학교 융합 프로젝트의 방향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한국초등국어교육,
v.0,
2015,
pp.69-103)
-
45
-
정서 분석 프로파일을 활용한 대화 분석 방법 연구
-
김평원;
인천대학교;
(화법연구,
v.0,
2015,
pp.67-100)
-
46
-
퍼지 논리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 분석 모형 연구
-
김평원;
이화여자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1,
pp.339-378)
-
47
-
말하기 불안의 분석 모형 연구
-
김평원;
이화여자대학교;
(국어교육학연구,
v.0,
2011,
pp.397-434)
-
48
-
토론 평가자 교육을 위한 퍼지 분석 모형의 효과
-
김평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화법연구,
v.0,
2011,
pp.9-46)
-
49
-
청소년 욕설 문화 개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
-
김평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화법연구,
v.0,
2012,
pp.9-37)
-
50
-
행주산성 전투에 사용된 변이중 화차의 복원
-
김평원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3,
2011,
pp.83-1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