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03건 중 303건 출력
, 5/31 페이지
-
41
-
중국의 맹목적 근대주의에 대한 조선족 지식인의 비판적 성찰 ― 중국 조선족 작가 김학철의 <20세기의 신화>의 문제성
-
고명철;
광운대학교;
(한민족문화연구,
v.0,
2007,
pp.129-154)
-
42
-
Kim Hak-cheol and Yoon Dong-ju: Omura Masuo's Move to East Asia and Decentr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
-
Jang, Moon-seok;
;
(동악어문학 = Journal of Dong-ak Language and Literature,
v.88,
2022,
pp.63-114)
-
43
-
김학철 산문에 나타난 현실비판 양상 연구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17,
pp.301-321)
-
44
-
김학철의 ⟨해란강아 말하라⟩ 연구
-
송현호;
아주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07,
pp.25-48)
-
45
-
‘해방’의 전통과 복원-김학철을 중심으로
-
김민수;
서울대학교;
(어문론총,
v.0,
2021,
pp.95-127)
-
46
-
김학철의 장편소설 ⟨20세기의 신화⟩와 잠재창작
-
이광일;
중국 연변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10,
pp.1-22)
-
47
-
김학철 소설에 나타난 체험의 형상화 방식 연구
-
최병우;
강릉원주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0,
pp.365-391)
-
48
-
같은 값이면...
-
김학철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42,
1989,
pp.49-50)
-
49
-
저항이라는 윤리- 김학철의 ⟨20세기의 신화⟩ 연구
-
구재진;
세명대학교;
(이상리뷰,
v.0,
2021,
pp.203-228)
-
50
-
[출판물과 언어]사형집행 끝났나?
-
김학철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53,
1991,
pp.56-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