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713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
-
出土本『老子』四種から見えてくる老子の素顔
-
谷中 信一;
日本女子大学;
(동서인문,
v.0,
2024,
pp.7-50)
-
42.
- 노자의 정치사상 연구
- 차지연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58p., 2003
-
43.
- 프란치스코 교황의 통합 생태론과 노자의 생태 인식에 관한 고찰 : 회칙 '찬미받으소서'와 郭店竹簡本 '노자'에서 발견되는 장(章)을 중심으로
- 김진오
-
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56, 2022
-
44
-
도가와 여성성 - 『노자』에서 ‘돌봄’의 개념은 가능하가
-
김시천;
;
(한국여성철학= Korean feminist philosophy,
v.8,
2007,
pp.1-26)
-
45
-
노자의 자연관
-
이종성;
충남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02,
pp.217-240)
-
46
-
도가철학의 사유방식 -『노자』에서 『노자지귀』까지 -서울: 법인문화사, 1997
-
정세근;
;
(哲學,
v.54,
1998,
pp.351-361)
-
47
-
老子의 養生論 硏究
-
全明鎔;
;
(中國學硏究 = The Journal of Chinese studies,
v.9,
1994,
pp.47-70)
-
48
-
『곽점노자』의 양생론 해석
-
Woo Jin Jung;
;
(哲學,
v.119,
2014,
pp.1-25)
-
49
-
노자 사상의 환경윤리적 함의
-
박덕인;
서우석;
;
(한국실과교육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,
v.17,
2004,
pp.21-40)
-
50.
- 『노자』에 나타난 교육자의 자질 연구
- 김정화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126 p., 20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