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안중근 사진엽서와 국제연대: 비하와 찬양, 그리고 전용·전유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0,
pp.191-226)
-
42
-
역사와 기억―건국연도와 연호, 그 정치적 함의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9,
pp.393-422)
-
43
-
雲樹之交와 비극적 귀결: 秋樹[英英]白雲圖와 秋樹白雲續圖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2,
pp.171-214)
-
44
-
1842년 김대건의 南京條約 조인식 참관과 보고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1,
pp.99-136)
-
45
-
1924년 베이징의 스님 신채호와 조선의 언론인 홍명희·한기악 “妻鎖子獄”과 “朝鮮史藁”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0,
2020,
pp.217-249)
-
46
-
안중근의 〈편지〉와 하얼빈 5일(1909.10.22~26): 거사의 구상과 귀결
-
도진순;
국립창원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5,
pp.191-229)
-
47
-
1839년 기해박해와 그 반대자들 : ‘제1섭정’ 김유근, ‘예비신자’ 김정희, 형조판서 조병현
-
도진순;
국립창원대학교;
(교회사학,
v.0,
2024,
pp.73-120)
-
48
-
‘희생자의식’, ‘민족주의’ 또는 ‘기억의 연대’: 임지현, 『희생자의식 민족주의: 고통을 경쟁하는 지구적 기억 전쟁』(서울, 휴머니스트, 2021)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3,
pp.289-306)
-
49
-
군함과 선교: 1842년 세실·장시니·리브와의 ⟨조선 구상⟩과 顚倒된 실행, 김대건·최양업의 입국과 순교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21,
pp.275-321)
-
50
-
시조 ⟨샌량쓰 불상을 보고⟩와 신채호의 내면 -샌량쓰, 전단불상, 눈물-
-
도진순;
창원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20,
pp.127-1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