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동남방언의 성조 실현, 그 기저성조와 율동제약
-
임석규;
원광대학교;
(방언학,
v.0,
2016,
pp.31-58)
-
42
-
국어 활용어미의 방언 분화 - ‘-(으)이-’계 설명ㆍ의문 종결어미를 중심으로
-
정승철;
;
(國語學 =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,
v.39,
2002,
pp.201-220, 406)
-
43
-
방언형 형성의 통시성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-동남방언의 몇몇 부사를 중심으로-
-
이상신;
아주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12,
pp.1-25)
-
44
-
동남 방언 ‘-(으)ㄴ/는기라’의 문법 및 의미 기능 고찰
-
박성희;
경상국립대학교;
(배달말,
v.0,
2024,
pp.63-98)
-
45
-
⟨七大萬法⟩에 실현된 16세기 후기 동남방언의 표기 및 음운적 특징
-
이옥희;
신라대학교;
(우리말연구,
v.0,
2011,
pp.69-93)
-
46
-
동남방언 ‘쬐-(쬐다, 陽), 쪼-(쪼다, 琢), 줍-(줍다, 拾)’의 재구조화 – 청송지역어를 중심으로
-
김세환;
영남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1,
2020,
pp.37-53)
-
47
-
의문문 형성 표지로부터 발달하는 선어말어미 상당구성과 담화표지에 대하여: ‘-다아니-’/‘아이가’(동남방언)와 ‘-지뭐(이)-’/‘뭐’를 중심으로
-
주지연;
영남대학교;
(언어와 정보 사회,
v.40,
2020,
pp.207-238)
-
48
-
네트워크 분석과 하위 방언 구획 연구
-
정성훈;
;
(한글,
v.0,
2016,
pp.227-256)
-
49.
- 東南方言 聲調의 地域的 分化 硏究
- Ito, Takayoshi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ⅲ, 199 p., 2015
-
50
-
남부 방언의 단모음 체계 변화에 관한 연구
-
김동은;
소속없음;
(방언학,
v.0,
2024,
pp.113-1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