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⟨益夫傳⟩의 서사적 특성과 기록성
-
류준필;
성균관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32,
2002,
pp.5-142)
-
42
-
‘한국문학연구’는 지금, 무엇을 하고 있나 —김흥규의 『근대의 특권화를 넘어서』 (창비, 2013), 그 논쟁적 맥락화를 중심으로—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13,
pp.359-382)
-
43
-
京師大學堂 學科制度의 設立 過程과 ‘文學’의 位相
-
류준필;
성균관대학교;
(중국문학,
v.56,
2008,
pp.319-346)
-
44
-
중국 小學語文 교과서에서의 한시 교육과 그 특성 ― 한국 漢文科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모색을 위하여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중국문학,
v.54,
2008,
pp.289-312)
-
45
-
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의 도입부 내용 설정과 ‘내용 체계’의 연계성 강화 방안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08,
pp.335-371)
-
46
-
『박학사포쇄일기』와 가사의 기록성
-
류준필;
성균관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22,
2003,
pp.111-139)
-
47
-
조선후기 문인 사회의 인정 욕망과 타자(성) ― 연암 박지원과 그 주변을 중심으로
-
류준필;
인하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17,
2008,
pp.6-52)
-
48
-
‘한국문학사’의 인식과 서술 체계-『한국문학통사』의 갈래론을 중심으로-
-
류준필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연구,
v.37,
2019,
pp.61-101)
-
49
-
‘文言ㆍ白話’를 넘어서 ―근대 중국에서 ‘국어’ 문제
-
류준필;
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6,
pp.163-207)
-
50
-
⟨論語⟩경학에서의 ‘學’ 개념과 그 인식 층위-조선 주자학자의 ‘學而時習之’章 주석을 중심으로-
-
류준필;
성균관대학교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10,
pp.113-15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