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85건 중 585건 출력
, 5/59 페이지
-
41
-
조긍섭의 ‘亡國’에 대한 대응양상의 一面 –1919년 총독부 투서 사건을 중심으로-
-
전송희;
부산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66,
2023,
pp.275-309)
-
42
-
『繪圖朝鮮亡國演義』 小考
-
류창진;
전남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05,
pp.313-332)
-
43
-
인과론적 사유의 전개와 망국사(亡國史) 이야기: 『마의태자』의 서사 구성 원리를 중심으로
-
서은혜;
홍익대학교;
(춘원연구학보,
v.0,
2018,
pp.89-124)
-
44
-
A Study on the Review of the Factuality and Historical Value of the Daehanmangguksa Yeoljeon: Focusing on the Case of Salt Merchant Doo-Won Kim
-
;
;
(泰東古典硏究 = Tae-dong review of classics,
v.52,
2024,
pp.9-37)
-
45
-
?越南亡國史?의 飜譯 過程에 나타난 諸問題
-
송엽휘;
;
(어문연구(語文硏究),
v.34,
2006,
pp.183-204)
-
46
-
亡國 이후 深齋 曺兢燮과 耕齋 李建昇의 교유 일면
-
전송희;
부산대학교;
(동양한문학연구,
v.70,
2025,
pp.167-198)
-
47
-
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- 식민지 후반기 역사극에 나타난 민족담론과 식민담론의 문제
-
이상우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25,
2007,
pp.55-90)
-
48
-
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: 김윤식·김택영·박은식의 경우
-
황재문;
;
(한국문화,
v.0,
2010,
pp.315-335)
-
49
-
1900년대 동아시아의 『越南亡國史』 유통과 수용- 한국, 중국, 월남을 중심으로 -
-
강영심;
이화여자대학교;
(이화사학연구,
v.0,
2014,
pp.79-118)
-
50
-
亡國과 사물—八大山人 花鳥畵 작품 개설
-
이주현;
서울대학교;
(중국문학,
v.106,
2021,
pp.235-26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