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1건 중 131건 출력
, 5/14 페이지
-
41
-
주요(主要) 과수(果樹)에서 발생(發生)하는 진딧물의 종류(種類)와 발생소장(發生消長)에 관(關)한 연구(硏究)
-
김석환;
이순원;
김인수;
이문홍;
농업기술연구소 생물부 곤충과;
농업기술연구소 생물부 곤충과;
농업기술연구소 생물부 곤충과;
농업기술연구소 생물부 곤충과;
(한국식물보호학회지,
v.25,
1986,
pp.209-213)
-
42
-
황사 발원지 황토를 이용한 인공 황사 살포처리가 과수의 착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
-
서형호;
김점국;
박무용;
김승희;
도경란;
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;
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;
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;
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;
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;
(한국농림기상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,
v.8,
2006,
pp.169-173)
-
43
-
2018년 전라남도 고흥 유자나무 동해 발생에 대한 기상학적 구명
-
김경희;
고영진;
김광형;
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;
순천대학교 식물의학과;
APEC기후센터 기후사업본부;
(Research in plant disease = 식물병연구,
v.25,
2019,
pp.71-78)
-
44
-
우리나라 과실류(果實類)의 역사적(歷史的) 고찰(考察)
-
강춘기;
서강실업전문대학 식품영양학과;
(韓國食文化學會誌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,
v.5,
1990,
pp.301-311)
-
45.
- 감나무(Diospyros kaki thunb.) 中間臺木이 樹體生長, 結實 및 果實品質에 미치는 影響
- 손동수
-
全南大學校, 국내박사,
98장, 1996
-
46.
- 한국어 접두 파생 명사의 형태소 표상을 반영하는 뇌파(ERP) 지표
- 강진원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34 p., 2020
-
47.
- 1-Methylcyclopropene(1-MCP) 처리가 사과 ‘감홍’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
- 박세영
-
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39 p., 2010
-
48
-
미얀마 과수원에서 과실파리 발생에 관한 연구
-
Win, Nan Zarchi;
Mi, Khin Mi;
Oo, Thi Tar;
Win, Kyaw Kyaw;
Park, Jinyoung;
Park, Jong Kyun;
경북대학교 생태과학과;
미얀마, Yezin 농업대학교 동물곤충학과;
미얀마, Yezin 농업대학교 동물곤충학과;
미얀마, Yezin 농업대학교 농학과;
국립생태원 생태평가조사실;
경북대학교 생태과학과;
(한국응용곤충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,
v.53,
2014,
pp.323-329)
-
49
-
식물생장조절물질 처리가 서양민들레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
-
김윤하;
이인중;
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;
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;
(Weed & Turfgrass Science,
v.2,
2013,
pp.152-158)
-
50.
- 모국어 영향이 영어 비대격 동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
- 한희숙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2장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