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806건 중 1,000건 출력
, 5/100 페이지
-
41.
-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수록 판소리 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 :「적벽가」를 중심으로
- 장형숙
-
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09
-
42
-
공감과 연민을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과 교육내용-판소리문학 교육을 중심으로-
-
황혜진;
건국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8,
pp.61-97)
-
43.
- 판소리 文學의 敎育演劇적 授業 方案 硏究 : <춘향가>를 對象으로
- 김연미
-
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6p., 2004
-
44
-
A Study of Literature-Media and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Literature -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ontemporary Pansori, Korean Creative Ballet, and K-POP -
-
Im , Hyeong-taek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72,
2017,
pp.105-127)
-
45
-
KDC 제4판 언어 및 문학류 전개의 개선방안
-
오동근;
배영활;
여지숙;
;
(한국문헌정보학회지,
v.42,
2008,
pp.141-157)
-
46
-
한국 (근대)문학의 세 가지 테제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- 감금과 자유의 21세기 판 역설들
-
공임순;
;
(상허학보 =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19,
2007,
pp.107-135)
-
47.
-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아내 부류의 여성형상
- 이유진
-
고려대학교, 국내석사,
ii, 66p. : ;, 2001
-
48.
- 판소리문학 지도 방안 연구 : <춘향전>을 제재로 한 고등학교 과정을 중심으로
- 최보연
-
경희대학교, 국내석사,
72p., 2002
-
49
-
선사시대 윷판형 암각화의 고천문학적 의미
-
임채우;
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;
(문화와 예술연구,
v.20,
2022,
pp.51-86)
-
50
-
A Study of the Chungcheong Dialect as a Literary Dialect in the Pansori Lyrics of Park Dongjin
-
Song, Mi kyoung;
;
(판소리硏究,
v.55,
2023,
pp.161-1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