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77건 중 677건 출력
, 5/68 페이지
-
41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예언 신학 - 「계시 헌장」(Dei Verbum)을 중심으로
-
서경룡;
;
(가톨릭 신학과사상=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,
v.2004,
2004,
pp.80-104)
-
42
-
한국 교회의 전통 종교 이해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
-
황종렬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25,
2005,
pp.177-227)
-
43
-
평신도의 교회 생활 참여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
-
한홍순;
;
(敎會史硏究 = Research journal of Korean church history,
v.25,
2005,
pp.89-118)
-
44
-
第 2次 바티칸公議會와 그 前後흐름으로 본 聖事論 小考
-
이순성;
;
(神學展望,
v.89,
1990,
pp.23-46)
-
45
-
제2차 바티칸 공의회(公議會)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혼인형식(婚姻形式)
-
김정남;
;
(가톨릭 신학과사상=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,
v.1989,
1989,
pp.107-137)
-
46.
-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론을 통해 바라본 ‘가정 교회’와 그 역할
- 서동욱
-
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69, 2024
-
47.
- 만국박람회와 근대 한국의 표상 연구 : 1925년 바티칸선교박람회를 중심으로
- 송란희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249 p., 2024
-
48.
-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Ordo Missae의 신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: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Ordo Missae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Ordo Missae의 비교를 통하여
- 최한준
-
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ⅶ, 139 p., 2022
-
49
-
리볼의 성 앨레드 -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후기 시대에 대한 그의 관련성
-
골룸반 히니;
OCSO;
;
(神學展望,
v.154,
2006,
pp.119-144)
-
50.
- 시간전례의 새로운 의미와 적응 :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헌장과 성무일도 총지침서를 중심으로
- 김기욱
-
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1 p., 20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