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문화콘텐츠로서의 환경을 보는 현상학적 시선- 세 편의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07,
pp.189-212)
-
42
-
시각적 사고 비판적 사고 그리고 논증적 글쓰기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,
v.99,
2013,
pp.103-121)
-
43
-
선험적 주관의 순환성과 후설 현상학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철학연구,
v.0,
2011,
pp.89-106)
-
44
-
인공지능 시대, 전문가 시스템의 위기와 인문 소양 교육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9,
2016,
pp.67-92)
-
45
-
사이버물리 시스템과 경량존재론(lightweight ontology): 4차 산업혁명의 인문학적 함축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학논총,
v.43,
2017,
pp.141-161)
-
46
-
후설 현상학에서 수학기초론적 논의의 역할에 관하여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철학연구,
v.0,
2008,
pp.81-96)
-
47
-
통섭(Consilience) -포기할 수 없는 환원주의자의 꿈-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0,
2008,
pp.197-218)
-
48
-
인문교육과 창의적 문제해결력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사고와표현,
v.8,
2015,
pp.7-32)
-
49
-
과학적 방법으로서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-후설 현상학을 중심으로-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5,
pp.49-73)
-
50
-
총체적 디지털화와 인문학의 미래
-
박승억;
숙명여자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11,
pp.169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