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5/17 페이지
-
41
-
박물관의 다종화와 전시방법의 다양화
-
배영동;
안동대학교 국학부 민속학전공;
(古文化 = Korean antiquity,
v.52,
1998,
pp.229-251)
-
42
-
한국 수저[匙箸]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
-
배영동;
대전보건전문대학 박물관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29,
1996,
pp.216-235)
-
43
-
안동포의 근대화와 우월적 가치 확립
-
배영동;
;
(아시아문화 = Asian Culture,
v.2006,
2006,
pp.197-230)
-
44
-
배영동 저 「농경생활의 문화읽기」(민속원, 2000) 물질문화 연구의 제창과 그 가능성에 대한 첫 시도
-
권삼문;
구미시학예연구사;
(농업사연구,
v.2,
2003,
pp.185-187)
-
45
-
안동식혜의 정체성과 문화사적 의의 - 품격, 발생, 확산에 대한 문제제기를 중심으로
-
배영동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14,
2009,
pp.307-338)
-
46
-
黃宗羲 사상의 성격에 관한 연구
-
배영동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31,
1997,
pp.43-63)
-
47
-
[특집:음·식의 사회화]안동 지역 전통 음식의 탈맥락화와 상품화-197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
-
배영동;
;
(사회와역사,
v.66,
2004,
pp.35-68)
-
48
-
『음식디미방』에 나타난 술의 다양성과 그 사회적 의미
-
배영동;
안동대 국학부 민속학전공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34,
2001,
pp.102-122)
-
49
-
연변 조선족자치주 안동촌 주생활의 생태민속학적 접근 - 그들의 고향 경북과 다른 환경에 대한 적응과정
-
배영동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41,
2010,
pp.71-96)
-
50
-
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 - 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사례
-
Bae, Young-Dong;
;
(比較民俗學 = Asian Comparative Folklore,
v.51,
2013,
pp.59-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