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渤海 기와의 硏究史的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백산학보,
v.0,
2012,
pp.167-195)
-
42
-
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52,
2015,
pp.75-104)
-
43
-
조선 후기 북한산성의 축성과 운영체계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3,
pp.113-140)
-
44
-
鴨綠江 中·上流域 出土 高句麗 遺物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고조선단군학,
v.22,
2010,
pp.165-198)
-
45
-
북한 학계의 고조선 성곽 연구 동향
-
백종오;
경기도 박물관;
(고조선단군학,
v.14,
2006,
pp.333-360)
-
46
-
南韓內 高句麗 古墳의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35,
2009,
pp.221-250)
-
47
-
韓國古代瓦當의 毁棄樣相 檢討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韓國史學報,
v.0,
2011,
pp.7-36)
-
48
-
高句麗 特別展 企劃 및 展示 運營
-
백종오;
한국교통대학교;
(문화사학,
v.0,
2009,
pp.63-84)
-
49
-
秦代 瓦當의 型式과 그 特徵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0,
pp.245-273)
-
50
-
南韓地域 高句麗 關防體系 - 臨津江流域을 중심으로 -
-
백종오;
충주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07,
pp.279-30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