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78건 중 478건 출력
, 5/48 페이지
-
41
-
대한출판문화협회와 조선일보가 공동으로 펼치는 '거실을 서재로' 캠페인
-
이주연;
대한출판문화협회;
(출판저널 =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,
v.377,
2007,
pp.30-31)
-
42
-
서재야회록(書齋夜會錄)의 구조적(構造的) 특성(特性)과 의미(意味)
-
유기옥;
;
(국어국문학,
v.102,
1989,
pp.335-369)
-
43
-
서재에서 만남 - 파울 첼란과 니체
-
서경홍;
충남대학교 독어독문학과;
(인문학연구,
v.55,
2016,
pp.271-292)
-
44
-
⟨書齋夜會錄⟩의 構造와 意味
-
유정일;
동국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133,
2003,
)
-
45
-
⟨書齋夜會錄⟩, 정신적 재무장을 위한 의인화 수법
-
이태화;
고려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06,
pp.197-220)
-
46
-
A Study on “Noraeseojae” in Gyobang, Pyongyang, found in literature
-
Shin, HyunGyu;
;
(교방문화연구 = Gyobang culture research,
v.1,
2021,
pp.9-27)
-
47
-
明代 文人들의 書齋 文化 考察
-
송경애;
강서대학교 G2빅데이터경영학과 부교수;
(동북아 문화연구,
v.1,
2023,
pp.19-33)
-
48
-
⟨서재야회록(書齋夜會錄)⟩에 형상화된 대화적 특징과 작품 세계
-
정규식;
동아대학교;
(포은학연구,
v.32,
2023,
pp.185-212)
-
49
-
가두와 서재 — 팔봉과 회월의 해방 전후
-
손유경;
서울대학교;
(인문논총,
v.78,
2021,
pp.245-282)
-
50
-
西齋 任徵夏의 유배체험과 그 형상화
-
김새미오;
성균관대학교;
(영주어문,
v.23,
2012,
pp.131-16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