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.
- (A) Study of Korean Classical Satirical Novels
- 이석래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181p., 1977
-
42
-
알라르꼰 소설의 전통적 자유주의와 성(性) 이데올로기
-
임주인;
서울대학교;
(이베로아메리카 연구,
v.16,
2005,
pp.151-172)
-
43
-
스페인 전전 사회소설- 기원과 공통주제 및 서술기법을 중심으로
-
박효영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지중해지역연구,
v.7,
2005,
pp.101-122)
-
44.
- 근대와 기억 : 한 편의 소설과 두 편의 영화 읽기
- 김미량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1 p., 2010
-
45
-
셀라의 소설: 폭력과 죽음의 묘사를 통한 과거의 기억
-
송선기;
조선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9,
pp.139-160)
-
46
-
라우라 에스끼벨의 소설 『말린체』에 형상화된‘말린체’의 복합적 이미지, 그리고 페미니즘
-
조구호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8,
pp.337-361)
-
47
-
김중혁 소설 속 사물의 행위성과 도시 - 소설집 『1F/B1』을 중심으로
-
김주리;
국립한밭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5,
pp.397-436)
-
48
-
스페인문학에 나타난 『칼릴라와 딤나』의 전승과 변이 - 설화 텍스트의 대중화과정을 중심으로-
-
백승욱;
고려대학교;
(중동문제연구,
v.9,
2010,
pp.165-185)
-
49.
- 레이날도 아레나스의 소설 『여름의 색깔』과 『습격』에 나타난 퍼포먼스 양상과 성격
- 양은영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6, 2021
-
50
-
『나비의 혀 』원작소설과 영화대본을 통해 본 이데올로기 갈등과 스페인 내전의 시작
-
송선기;
조선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10,
pp.83-1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