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.
- 조선조 유학자들의 孟子 浩然章 해석에 관한 연구 : 朱子註와의 비교를 중심으로
- 정화순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88 p., 2014
-
42.
- 주희의 호상학 공부방법 비판과 그 신유학적(新儒學的) 의미
- 박정은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2, 2015
-
43
-
유연 옥사에 관한 두 편의 서사와 증언의 재구성
-
김정녀;
단국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23,
pp.119-152)
-
44
-
대학 글쓰기의 감상-작문 통합 수업 연구- 자녀서사의 성장을 주제로 한 성찰적 글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2,
2014,
pp.101-131)
-
45
-
평가자에 따른 작문 평가 결과의 비교 연구 - 채점(scoring) 및 총평(description)의 양상을 중심으로 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작문연구,
v.0,
2016,
pp.29-63)
-
46
-
학습자 질문 중심의 문학 감상 수업 연구 -⟨춘향전⟩ 감상 수업을 중심으로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14,
pp.253-283)
-
47
-
‘어제런 듯하여라’ 시조와 시간 경험의 교육
-
송지언;
서울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2,
pp.189-220)
-
48
-
일 서사의 전개와 지향에 대한 고찰 - ⟨광작⟩, ⟨허생전⟩, ⟨미생⟩의 비교를 중심으로 -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15,
pp.243-274)
-
49
-
독서-작문 통합 교육을 위한 요약문 쓰기 수업 탐색
-
송지언;
홍익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15,
pp.9-38)
-
50
-
‘감동천지귀신’의 의미와 ⟨제망매가⟩의 감동
-
송지언;
서울대학교;
(국어교육,
v.0,
2012,
pp.259-2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