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41
-
농민전쟁기 훈장과 학동의 일상 : 고부지역 전봉준과 박문규의 사례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13,
pp.27-48)
-
42
-
1862년 삼정이정논의와 환곡정책의 전개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12,
pp.123-148)
-
43
-
일제강점기 改良書堂의 형성과 실상 -사진자료를 중심으로-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14,
pp.201-228)
-
44
-
갑오개혁기 결세제도의 개혁과 환곡제의 변화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1992,
pp.161-187)
-
45
-
1894년 농민전쟁 일지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1993,
pp.167-231)
-
46
-
정조대 장용영곡의 설치와 운영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9,
pp.243-280)
-
47
-
다산 정약용의 목민활동과 이상사회: 곡산부사 시기(1797~1799)를 중심으로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16,
pp.169-206)
-
48
-
1862년 농민항쟁기 암행어사의 파견과 성과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20,
pp.121-164)
-
49
-
19세기 경상우병영의 재정구조와 진주농민항쟁
-
송찬섭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,
v.0,
1990,
pp.203-250)
-
50
-
중세해체기 농민항쟁 연구와 서술방향
-
송찬섭;
한국방송통신대학교;
(역사연구,
v.0,
2008,
pp.263-296)